본문 바로가기

검색
GJF
나에게 딱 맞는 일자리사업을 찾고계신가요?
한 눈에 보는 일자리사업
중고령자 고용이 청년 일자리 기회를 줄이는가?
  • 카테고리 : 이슈리포트
  • 발행년도 : 2025
  • 작성일 : 2025-11-21
  • 조회수 : 113
  • ※ 본문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의견 및 견해는 경기도일자리재단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GJF 고용이슈리포트 2025-10 중고령자 고용이 청년 일자리 기회를 줄이는가? 발행일 2025년 11월 21일 발행처 일자리연구센터 김윤중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 연구위원 중고령자 고용과 청년 일자리  인구 고령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특히 선진국에서 두드러짐.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어 2024년 12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전국의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31년 50세를 넘어서고, 2072년이 되면 63.4세로 총인구의 50%가 63세 이상일 것으로 예상  그에 따라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2년 24.8명에서 2072년에는 104.2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근로 세대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함을 의미1 그림 1 생산연령인구 1백명당 부양비, 1960~2072 자료: 국가데이터처  인구구조 변화는 세대 간 부양 부담 가중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의 양적・질적 변동을 유발하며, 경제성장 둔화 등 복합적  문제를 야기. 실제로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을 기점으로 이미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향후 50년내에 2022년의  45.8%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변화는 연령 계층별 고용구조도 변화시킴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