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경기도 여성 인구 및 경제활동 특성
  • 카테고리 : 이슈포커스
  • 발행년도 : 2025
  • 작성일 : 2025-07-31
  • 조회수 : 549
  • GJF 이슈포커스 2025-06(2025. 7.31) 경기도 여성 인구 및 경제활동 특성 임다희 연구위원, 이재홍 연구원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

    경기도 여성 인구구조 여성 고령 인구 7.1%(2000년) → 18.3%(2024년) 고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 여성 유소년 인구 23.2%(2000년) → 11.5%(2024년) 여성 유소년 인구의 급격한 감소 * 고령 인구: 65세 이상 인구 * 유소년 인구: 14세 이하 인구

    경기도 가구 현황 경기도 전체 가구구성 현황 경기도 전체 가구 수는 약 550만 가구 혼인 상태 가구 구성으로 볼 수 있는 1세대(부부)와 2세대(부부+자녀)가구가  62.8% 경기도 가구 현황 경기도 가구 중 약 32%가 여성 가장 경기도 여성 가구 주 가구 구성 현황 여성 가구주의 가구 중  2세대 가구와 1인 가구 구성이 80% 이상 차지

    한무보 가구 중 모 한부모 현황 경기도 한부모 각  현황 2023년 한부모 가구는  전체 6.2%(2016년 대비) 증가 그 중 모(母) 한부모 가구는 8.3% 증가,  부(父) 한부모 가구는 0.1% 증가 →여성 한부모 가구의 증가가 큼 경기도 및 전국 한부모 가구 현황 전국 한부모 가구는  같은 기간 -3.0% 감소.  모(母) 한부모 가구 역시  -1.0% 감소하여  전국 평균 감소하고 있는 추세와 대조적

    여성 경제활동 현황 경제활동 인구 연평균 증가율 경기도 전체 1.98% 증가 여성 2.53%, 남성 1.58%로 여성 증가율 큼 여성 평균 증가율 전국: 1.46%, 서울: 0.77%, 인천: 1.85% 경기도 여성 경제활동 인구 증가율이 가장 큼 경기도 연도별 경제활동 인구 2024년 경기도 경제활동 인구:  남성: 58.9%, 여성: 41.2% 10년 간 경제활동 인구 변화:  전체: 19.3%p ▲   남성: 15.2%p ▲ 여성: 25.2%p ▲

    경기도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 현황 2024년 2분기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는 3,472천 명  여성의 경제활동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5년간 661천 명 증가(2,811 천 명(2020.2/2)→ 3,472천 명(2024.2/2)) 연령별 경제활동 인구 수 기준 50대가 798천 명으로 1순위, 40대가 737천 명으로 2순위 연령별 경제활동 인구 증가율 기준 60대가 50.9%p 증가로 1순위, 30대가 16.5%p 증가로 2순위(2020.1/2 대비 2024.2/2 기준)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현황 경기도 미취업 여성은 40.8%(2015년) → 35.7%(2024년)로 5.1%p 감소 경력단절 여성 23.7%(2015년) → 16.6%(2024년)로 7.1%p 감소 미취업 여성과 경력단절 여성은 감소 추세 하지만 전국과 비교하였을 때, 경기도 미취업 여성은 1.7%p, 경력단절 여성은 0.7%p 높게 나타남 (2024년 기준)

    경기도 월평균 임금과 성별 격차 경기도 성별 임금격차는 전국에서 세번째로 큼 경기도 전체 월평균 임금은 273만 원으로 여성 217만 원, 남성 315만 원 월평균 임금격차 97만 원, 전국 월평균 임금격차 83만 원 보다 14만 원 높음

    생애주기별 성별 임금 생애주기별 성별 임금은 전 생애에 걸쳐 여성보다 남성의 임금이 높음  여성은 30세 이상~50세 미만에서 생애 중 가장 높은 임금을 받음

    요약 및 시사점 생애주기 및 복지적 관점으로의 일자리사업 전환 -고령 여성 인구와 여성 한부모가구 증가는 일자리사업에 대한   접근을 넘어서는 종합적인 지원정책에 대한 고민 필요 경력단절 예방 및 강화를 위한 경기도형 일자리사업 지원 정책 마련 -경기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지만 경기도 경력단절 여성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 - 경력단절 예방과 여성 일자리(경력) 유지 강화를 위한 경기도형 일자리사업 마련 필요 여성 양질의 일자리 접근을 위한 방안 마련 -경기도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성별 임금격차가 큰 지역 -성별 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한 고민 필요

     

    [요약]
     

    - 2000년 대비 2024년 경기도 여성 고령인구는 7.1%에서 18.3%로 급증한 반면, 유소년 인구는 23.2%에서 11.5%로 급감하며 빠른 고령화와 저출산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경기도 전체 가구 약 550만 중 62.8%는 혼인 상태 가구로 1세대(부부), 2세대(부부+자녀) 가구이며, 약 32%는 여성 가장 가구로, 이 중 2세대 또는 1인 가구가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 2023년 경기도 한부모 가구는 전체 6.2%(2016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모(母) 한부모 가구가 8.3% 증가해 전국 평균과는 달리 경기도에서는 여성 한부모 가구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 경기도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최근 10년간 25.1%p 증가해 남성보다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며, 2024년에는 여성 비중이 41.2%에 달합니다. 여성 증가율은 수도권 중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 2024년 2분기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3,472천 명으로, 최근 5년간 약 661천 명 증가했으며, 특히 60대(50.9%)와 30대(16.5%) 여성의 참여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 경기도 미취업 여성과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감소 추세이나,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각각 1.7%p, 0.7%p 높게 나타났습니다. 

    - 경기도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성별 임금격차가 크며, 월평균 임금은 여성 217만 원, 남성 315만 원으로 격차가 97만 원에 달해 전국 평균보다 14만 원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 고령 여성 및 여성 한부모 증가에 일자리사업에 대한 접근을 넘어서는 종합적인 지원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경력단절 예방 및 강화를 위한 경기도형 일자리사업 지원 정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