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전체메뉴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카테고리 : 이슈포커스
  • 발행년도 : 2024
  • 작성일 : 2024-12-31
  • 조회수 : 2,190
  • ISSN 3058-3721 2024_12(2024,12,31.)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이혜민 연구위원, 김민영 연구원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 경기도일자리재단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36시간 미만 단시간근로자 급증 머니S 2024.10.17. 네이버뉴스 청년층·40대 고용 줄고 단시간근로 늘고… '일자리 질' 악화 지속 36시간은 일반적으로 단시간 근로자와 전일제 근로자를 나누는 기준이다. 양질의 일자리는 줄고 임금이나 근무 환경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단기 일자리는 오히려 늘어난 것이란 평가다. 비경제활동인구도 1621만5000... 신아일보 2024.04.23.  지난해 증가 취업자 92% ‘여성’...‘단시간 근로자’ 늘어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최근 우리 고용 흐름의 주된 특징은 여성 취업자의 약진, 청년 고용의 부진, 단시간 근로자 비중 확대로 요약된다”며 “코로나19 이후 인구·산업구조 전환이 빨라지면서 고용시장도 빠... 단시간근로자 급증 우리가 주목해야할 점은? 단시간근로자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해 짧은 근로자(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9호)로서, 통계조사 기준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가 해당되며, 주 15시간 미만인 근로자는 초단시간근로자로 분류함 *소정근로시간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8호)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뉴노멀이 된 단시간 일자리 전국과 경기도 모두 단시간근로자(36시간 미만 근로자) 비중 30% 초과! 노동시장의 새로운 표준이 된 단시간 일자리 단시간근로자 비중(전국 VS.경기도)(단위 : %) 전국 2022. 1/4 21.7 2023. 1/4 22.0 2024. 1/4 33.8 12.1% 증가(2022년 대비) 경기도 2022. 1/4 18.9 2023. 1/4 19.2 2024. 1/4 32.5 13.6% 증가(2022년 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별 1분기 기준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시도별 단시간근로자 증감(2022 vs.2024) •‘22년 1분기 대비 ’24년 1분기 단시간근로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도! •경기도 총 취업자는 165천 명 증가: 36시간 미만 취업자는1,059천 명 ↑,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878천 명 ↓, 일시휴직자14천 명 ↓ ‘22년 대비 ’24년 취업자 증감 (단위 : 천 명) 전체 취업자 36시간 미만 취업자 경기도 전체 취업자 165 36시간 미만 취업자 1,059 인천광역시 전체 취업자 93 36 시간 미만 취업자 239 서울특별시 전체 취업자153 36 시간 미만 취업자 701 세종특별시 전체 취업자 18 36시간 미만 취업자 29 충청남도 전체취업자 36 36시간 미만 취업자 119 전라북도 전체취업자 37 36시간 미만 취업자 127 광주광역시 전체 취업자 42 36시간 미만 취업자 106 전라남도 전체 취업자 10 36시간 미만 취업자 124 강원도 전체 취업자 18 36시간 미만 취업자 104 충청북도 전체 취업자 26 36시간 미만 취업자 115 경상북도 전체 취업자 18 36시간 미만 취업자 181 대전광역시 전체 취업자 3 36시간 미만 취업자 102 대구광역시 전체 취업자 –3 36시간 미만 취업자 121 울산광역시 전체 취업자 9 36시간 미만 취업자 49 부산광역시 전체 취업자 29 36시간 미만 취업자 179 경상남도 전체 취업자 30 36시간 미만 취업자 179 제주도 전체 취업자 7 36시간 미만 취업자 33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별 1분기 기준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경기도 근로시간별근로자 비중(2022 vs.2024) •36~52시간 근로자는 감소(-12.5%p)한 반면, 15~35시간대 근로자가 크게 증가(+13.8%p) •주휴수당, 퇴직금, 유급연차휴가 등이 보장되지 않는 초단시간 근로자(주15시간 미만 근로자)는전체 근로자의 4.9% 차지 2022년 1분기 1~14시간 4.9 15~35시간 14.4 36~52시간 70.9 53시간 이상 9.9 2024년 1분기 1~14시간 4.9 15~35시간 28.2 36~52시간 58.3 53시간 이상 8.5  1~14시간 15~35시간 36~52시간 53시간 이상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별 1분기 기준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전국 성별·산업별 단시간근로자 비율 (단위 : %, 천 명) 남성 46% 4,338 여성 54% 5,159  2024년 1분기 기준, 36시간 미만인 전국 취업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821천 명 더 많음 전국 36시간 미만 총 취업자 수: 9,496천 명 전국 36시간 이상 총 취업자 수: 18,042천 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E,L~U) 44.7% 4,244 도소매·숙박음식점업(G,I) 18% 1,709 제조업(C) 11.6% 1,098 전기·운수·통신·금융(D,H,J,K) 10.1% 957 농업, 임업 및 어업(A) 8.5% 805 건설업(F) 7.2% 682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별 1분기 기준, 광업은 1천 명 이하(0.0%)여서 제외함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경기도 성별·산업별 단시간근로자 비율 (단위 : %, 천 명) 남성 37.7% 564 여성 62.3% 993 2023년 하반기 기준, 주당 근로시간* 36시간 미만인 경기도 취업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369,133명 더 많음 *주당 근로시간 취업자 수는 주업(취업시간이 가장 많은 일)을 기준으로 산출함 **경기도 36시간 미만 총 취업자 수:1,497,181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E,L~U) 48.8% 730 도소매·숙박음식점업(G,I) 25.3% 379 전기·운수·통신·금융(D,H,J,K) 7.3% 198 농업, 임업 및 어업(A) 6.6% 98 건설업(F) 6.0% 90 제조업(C) 6.0% 90 자료: 통계청,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 가공, ‘경기도’단시간근로자 산출을 위한 최신자료임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단시간 일자리 증가 주요 원인 단시간 일자리의 증가는 경제구조의 변화와 노동시장의 양극화, 경기침체로 인한 고용유연화, 정책적 요인등 복합적인 배경에서 비롯됨 v경제구조의 변화 •서비스업 중심으로의 산업구조 재편 •플랫폼 경제의 성장  v노동시장의 양극화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심화 •근로시간 및 임금격차 확대  v경기침체로 인한 고용유연화 •기업의 인건비 절감 필요성 증가 •정규직 채용 감소와 비정규직 선호  v정책 및 제도적 요인 •근로시간 단축 정책의 영향 •단시간 근로와 관련한 세제 혜택이나 사회보험 적용 확대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대상별 단시간 일자리 선호 배경 각자가 처한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를 선호 청년  정규직 일자리 부족 학업과 병행할 수 있는 근무 형태 선호 플랫폼 경제 확산에 따른 유연한 근무시간 선호 등 여성 육아 및 가사 부담 경력 단절 후 노동시장 복귀 시 단시간 일자리 활용 증가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 확대 등 고령층 은퇴 후 경제활동 지속 안정적 일자리 찾기 어려움 건강상태를 고려한 단시간 근로 선호 자영업자 매출 감소로 추가 소득 필요 자영업 비수기에 경제활동 유지 수단 활용 경제 불안정으로 인한 보조적 근로 등2024_12 경기도 단시간 일자리, 증가 원인과 대응 전략 # 단시간 일자리 증가 대응 전략 단시간 일자리, 양적 증가에서 질적 향상으로! 단시간 일자리 개선을 위한 해법 질 높은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유도 •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 강화 고용 안정성 강화 •비정규직 처우와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법적·제도적 뒷받침 필요 직업 훈련 및 재교육 확대 저임금 일자리에서 벗어나도록 기술교육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확대 및 강화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기 가족 친화적 근로 환경 조성 육아·가족 돌봄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과 기업 지원 확대

     

    [요약]

    - 경기도의 단시간근로자 비중은 전국 평균을 상회하며, 특히 15~35시간대 근로자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 단시간근로자 중 여성 비중이 높으며, 산업별로는 서비스업과 도소매·숙박음식업에서 집중되고 있습니다.

    - 단시간 일자리 증가는 경제구조의 변화와 노동시장의 양극화, 경기침체로 인한 고용유연화, 정책적 요인 등 복합적인 배경에서 비롯됩니다. 

    - 청년은 학업 병행, 여성은 경력단절 복귀, 고령층은 건강 문제 등 각자가 처한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를 선호합니다. 

    - 자영업자 또한 비수기 대응 및 경제 불안정에 따른 보조적 수단으로 단시간 일자리를 선택합니다.

    - 경기도는 단시간 일자리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고용 안정성과 가족친화적 환경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