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이 전기차·수소차 등 미래차로 빠르게 전환되는 가운데 경기도의회에서 현장의 기술 인력 양성과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자동차정비 전문교육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9월 15일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회의실에서 경기도기술학교, 경기도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 관계자들과 함께 자동차정비 교육의 현황과 개선 과제를 논의했다. 자동차산업은 내연기관에서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정비 기술의 변화 속도가 빠르다. 특히 전장 부품 비중이 커지고 배터리·수소연료전지 등 첨단 기술이 핵심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정비 교육으로는 산업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용호 부위원장은 “자동차산업의 급속한 변화는 기술인력의 재교육을 필수로 만든다”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맞춤형 교육 환경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경기도는 미래차 산업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도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 김동경 이사장은 “현재 자동차종합검사 법정의무 교육장은 경북 김천 단 1곳에 불과하다”며 “경기도 정비사들이 의무 교육을 받기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법령 개정을 통해 경기도기술학교와 정비조합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교육장 모델을 마련하면 인력 양성과 교육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며 제도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경기도일자리재단 이진희 융합인재본부장은 “정비인력에 대한 법정 교육은 물론,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확대에 따른 신기술 교육, 사업주 대상 경영·안전 교육 등 다층적 교육 체계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