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확인 |
---|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면 상세페이지를 볼 수 있는 URL이 전송됩니다.
상세 페이지 URL 전송을 위해 휴대폰 번호를 수집하며, 입력하신 번호는 저장하지 않습니다.
전송은 무료이며 입력하신 번호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가장 행복한 자리는
일자리입니다.
당신의 일자리를 위해
경기도일자리재단이
함께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경기도일자리재단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경기도민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정보의 제공과 양질의
직업 알선, 다양한 직업교육 및 단계별 여성창업 지원을 통하여 도민이 일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받기 위한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경기도, 도내 31개 시ㆍ군, 경기도교육청, 중앙정부 등 공공, 민간, 유관기관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도민과 도내 기업에게 양질의 일자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공 고용 서비스 정책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재단은 청년, 여성, 중장년, 장애인 등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수요자
맞춤형 고용 서비스 제공을 통해 도민의 고용 기회 확대와 복지증진에 앞장서는
최고의 고용서비스 허브기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지속적인 성원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경기도민에게 양질의 직업알선 및 직 업정보 제공을 통하여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다양한 직업훈련과 창업의 기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경기도민의 고용증진과 복리증진으로 지역경제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독서경영 우수직장 인증 우수상 수상
정보화사업센터 신설
경기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관 인증
인권경영 시스템 우수기업 인증 획득
제윤경 대표이사 취임
아태 스티비 어워드 "공기업 혁신" 금상 수상
중장년일자리센터 신설
2019 한국소비자만족지수 1위
아태 스티비 어워드 "e공기업 혁신" 금상 수상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수상
"e공공서비스/공공커뮤니케이션" 부문
랭키닷컴 공공 취ㆍ창업분야 2년 연속 1위
2대 문진영 대표이사 취임
한국 소비자만족도 1위 '공공 커뮤니케이션'부문
아태스티비어워드 공기업혁신/기술경영,기획,실행 혁신부분 금상
일하는 청년시리즈 사업시행
일자리플랫폼 잡아바 '굿콘텐츠 서비스 인증' 획득 청년일자리본부 신설
경기북부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 개소
일자리플랫폼 '잡아바' 정식 서비스
경기도 청년구직지원금 사업 시행
여성능력개발본부(남부) post-BI 센터 개소
경기도일자리재단 국내 국외 무료직업소개사업 신고
경기도기술학교 통합
경기일자리센터, 경기여성능력개발센터, 경기북부여성비전센터 통합
경기도일자리재단 공식 출범
초대 김화수 대표이사 취임
발기인총회 및 창립이사회 개최
경기도일자리재단 설립 및 운영조례 제정 법인설립위원회 개최
13대 전략과제 |
뉴딜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연구기능 강화 | 중소기업 고용 환경 개선 | 고객 . 윤리경영 활성화 | ||
---|---|---|---|---|---|---|
계층별 일자리 발굴 및 취업지원 |
디지털 서비스 체계 구축 | 중소기업 재직 지원 강화 |
|
|||
취 . 창업 역량 향상 | 일자리 광역기능 강화 | 플랫폼 노동자 지원 |
사회적 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생태계 일자리 확립
수요자 맞춤형 사업수행
광역서비스 창출 및 일자리사업 추진의 효율적 구조 마련
사업대상자의 사업 전반 참여 및연계협력 강화
부문 | 추진전략 | 주요내용 |
---|---|---|
![]() |
대한민국 일자리 |
|
![]() |
상담인력 |
|
![]() |
취·창업 |
|
![]() |
사업평가기능 확대로 |
|
![]() |
맞춤형 지원 강화
|
![]() |
취업 · 창업 지원의 원스톱서비스 강화
|
![]() |
역량강화를 통한 전직 지원
|
![]() |
일자리 연계 서비스 강화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천로 136번길 어울마당(구, 원미구청) 3층 |
---|---|
전화번호 | 031-270-9600 |
팩스번호 | 031-270-9601 |
대중교통 이용 시 | 지하철 이용 시 : 7호선 춘의역 2번출구 도보 10분 |
버스 이용 시
- 56번(원미1동행정복지센터, 원미어울마당 정류장) - 8번, 11번, 12번, 50번, 70-2번, 71번, 75번, 606번, 661번(부천동행정복지센터, 원미어울마당 정류장) - 마을버스 013-1번 (원미어울마당)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부천로 143 KB증권빌딩 3,4층 |
---|---|
전화번호 | 031-270-9600 |
팩스번호 | 032-611-3021 |
대중교통 이용 시 | 지하철 이용 시 : 7호선 춘의역 3번 출구 도보 10분 |
버스 이용 시
- 56번(원미1동행정복지센터, 원미어울마당 정류장) - 8번, 11번, 12번, 50번, 70-2번, 71번, 75번, 606번, 661번(부천동행정복지센터, 원미어울마당 정류장) - 마을버스 013-1번 (원미어울마당)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 2311(마북동) |
---|---|
전화번호 | 1600-3680 |
대중교통 이용 시 |
지하철 이용 시
|
버스 이용 시
|
|
자가 이용 시 |
|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137 |
---|---|
전화번호 | 031-270-9990, 9910 |
전철 노선안내 |
|
마을버스 이용 시 |
|
셔틀버스 안내 |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기산로 31-6(우:18388) |
---|---|
전화번호 | 031.-270.-9600(내선5번) |
지하철 이용시 |
|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심볼마크는 희망과 미래의 창 이라는 컨셉으로, 창이 열리는 형상을 통해 경기도민들에게 활짝 열린 밝고 희망찬 미래를 제시하며, GJF의 영문 이니셜 도형을 활용하여 재단의 정체성과 단단한 구조로서의 정직함을 표현한다. 재단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일관된 이미지를 위해 사용상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임의로 작도하여 심벌마크의 이미지를 손상하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심볼마크는 경기도일자리재단 FI의 조형적 특징 및 상징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요소이다. 상황에 따라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이덴티티 왜곡, 변형 및 오남용에 따른 이미지 손상방지를 위하여 컬러 규정과 원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색상이며 인쇄 시 4원색 인쇄를 한다.
단색 표현만 허용되는 매체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
(신문광고, Monotone 효과 등)
단색 평면 표현만 허용되는 매체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
(금속입체성형, 형압 등)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더불어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로 심볼마크가 주는 이미지와 조화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으며, 각각의 글자꼴 형태에 따라 비례 조정한 것이므로 글자의 꼴, 굵기, 비례 등을 임의로 변경하여서는 안된다.
시그니처 시스템은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심볼마크와 로고타입을 적절한 비례로 조합한 것으로 적용 상황에 맞는 조합을 선택 활용할 수 있으며, 기본조합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좌우조합은 최대한 지양한다. 모든 원고의 사용은 컴퓨터 데이터에 의해 확대, 축소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미지의 오용,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전용색상은 심볼마크와 더불어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전용색상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인쇄방법, 잉크의 농도, 종이의 지질, 적용 매체의 상황 등을 검토하여 본 항이 정한 표준색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Pantone 376C, C50 M15 Y100 k0, R144,G176, B62
Pantone Red 032C, C0 M100 Y100 k0, R237,G28, B36
Pantone 285C, C80 M50 Y0 k0, R55,G119, B188
Pantone Black, C0 M0 Y0 k100, R35,G31, B32
Gold : Pantone 847C, Silver : Pantone 877C